
URL
인터넷 상의 파일이나 데이터베이스 같은 자원(파일)에 대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 (인터넷에 있는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규약)

웹 서버에 요청을 보내기 위해서는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알아야 한다.
때문에, BW에서 URL에 프로토콜, IP 주소, 포트 번호, 자원명을 포함하여 요청한다.
ex) [ http://IP주소:80//k.html ] 같은 형식
* 호스트 이름, 파일 이름은 꼭 필요. 나머지는 생략 가능
DNS 때문에 naver.com 을 IP주소로 인식한다.
naver.com은 호스트 이름이라고도 불린다.
클라이언트가 툴(브라우저)를 사용해서 url을 넣고, HDD에 파일을 요청한다. 그러면 이 URL이 BufferedWriter를 타고 건너가서 BufferedReader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읽는다. 웹서버는 해당 요청에 대한 적절한 응답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게 보낸다. 그리고 찾아온 .html을 브라우저에 표시
웹 서버의 기본 포트 번호는 80번. 서버 소켓의 포트가 80번인 것.
서버소켓을 때리면 애가 새로운 소켓을 만들어서 응답하는 것임
[ http://IP주소:80 ] = 브라우저가 소켓을 만들어낼 때 필요한 것
[ //k.html ] = app에서 받는 소켓의 입장에서는 자원명(k.html)이 중요함
해당 정보를 이용해서 찾기 때문!
내가 URL을 줄테니까, 니가 자원명을 파싱해서, HDD에서 찾아서 나한테 줘
> 최초의 프로토콜을 GET 프로토콜 이라고 함.
> 웹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 파일을 보여달라고 요청하는 것
Share article